
[책] 후니의 쉽게 쓴 시스코 네트워킹 - Part 7, 8
2023. 3. 1. 05:14
책/후니의 쉽게 쓴 시스코 네트워킹
라우터만 알면 네트워크 도사? 라우팅 - 서로 다른 네트워크간 통신하기 위해 사용 - 브로드캐스트 영역을 나눠줌 - 자신이 가야 할 길을 가장 빠르고 효율적으로 알아서 찾아 감 - 관리자가 세팅해야 하는데, 세팅을 하는 명령어는 라우터의 제조회사에 따라 모두 다름 라우터가 하는 일 - 경로 결정 (Path Determination): 데이터 패킷이 목적지까지 갈 수 있는 길을 검사하고, 어떤 길로 가야는 것이 가장 적절한지 결정 - 스위칭 (Switching): 그 길이 결정되면 그 쪽으로 데이터 패킷을 스위칭함 // 스위칭은 스위치가 하는 일과는 다른 것임 라우팅 알고리즘 - 라우터가 어디로 가는 길이 가장 빠르고 안전한 길인지 계산할 때 쓰는 알고리즘 - 라우팅 테이블을 만들어 관리, 테이블에는 어디..

[책] 후니의 쉽게 쓴 시스코 네트워킹 - Part 5, 6
2023. 2. 11. 19:20
책/후니의 쉽게 쓴 시스코 네트워킹
IP 주소로의 여행 IP 주소 - TCP/IP 라는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모든 장비들을 서로 구분해 주기 위해서 만든 것 - 원래 2진수 32자리로 되어 있음 8자리 (옥테트, Octet) 마다 점을 찍어 구분 10진수로 하면 한 옥테트가 최대 255까지 가능 - 우리가 보는 IP 주소는 그 2진수를 보기 편하게 10진수로 바꿔 놓은 것 라우터에서의 IP주소 - 라우터는 두 개의 인터페이스로 나뉨 이더넷 인터페이스: 라우터에서 내부의 네트워크 쪽으로 연결 시리얼 인터페이스: 라우터에서 외부, 즉 인터넷 쪽으로 연결 - 그래서 보통 라우터에는 IP 주소가 2개 있음 이더넷용 IP: 내부에서 사용하기 위해 부여받은 주소 중 하나 (보통 맨 앞 주소를 사용) 예를 들어 203.120.150.1 ~ 203.120..

[책] 후니의 쉽게 쓴 시스코 네트워킹 - Part 3, 4
2023. 2. 9. 16:28
책/후니의 쉽게 쓴 시스코 네트워킹
TCP / IP와의 만남 TCP / IP란 - 인터넷의 공용어 (인터넷을 하기 위해 꼭 필요함) - Arpanet 에 의해 처음 개발 되었음 - 각각의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호스트들은 고유의 주소를 가지고 있어서 자신이 속해있는 네트워크 뿐만 아니라, 다른 네트워크에 연결 되어 있는 호스트까지도 서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음 - 호스트 주소는 InterNIC (Internet Network Information Center) 란 단체에서 관리, 분배 - AppleTalk, IPX, NetBEUI 등도 있지만 가장 널리 쓰이는 건 TCP/IP IP Address - 인터넷을 사용하는 사람들 모두 세계에서 유일한 자신만의 주소를 가짐 - 내 주소로 남이 접속하면 IP 충돌 발생으로 둘 중 한 명은 접속 불..

[책] 후니의 쉽게 쓴 시스코 네트워킹 - Part 1, 2
2023. 2. 8. 16:48
책/후니의 쉽게 쓴 시스코 네트워킹
네트워크 세상에 들어가며네트워킹 - 정보의 공유, 자원을 공유하기 위해 서로 연결된 장비들끼리 대화를 주고 받을 수 있게 하는 것인터넷 (InterNet)- Internet의 Inter 라는 말은 연결을 의미- 여러 개의 네트워크를 묶은 것인터넷의 특징- 하나의 프로토콜만 사용 (하나의 언어, 하나의 프로콜만 사용해야 해서 TCP/IP 가 만들어짐)- 웹 브라우저 사용하여 인터넷 탐험인트라넷 (IntraNet)- Intra는 '내부의' 라는 뜻으로 내부의 네트워크 임- TCP/IP 프로토콜 사용엑스트라넷 (ExtraNet)- 기업의 인트라넷을 해당 기업의 종업원 외에도 협력 회사, 고객에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네트워크와 케이블 그리고 친구들LAN (Local Area Network)- 어느 한정된 공..

[컴퓨터 과학] 재귀 함수란?
2022. 12. 2. 18:55
Information Technology
재귀 함수란? 재귀 함수란 함수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자신을 호출하는 프로세스이다.재귀 알고리즘을 사용하면 탐색, GCD (최대공약수) 등 복잡한 문제들도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다. 단, 반복문과 같이 재귀함수도 종료지점을 제대로 정하지 않고 구현을 하면 스택 오버플로우가 발생하므로 항시 주의해서 구현을 해야 한다. 재귀함수는 보통 피보나치수열, 팩토리얼 연산과 같이 재귀적 사용이 자연스러울 때 사용한다. 재귀 함수 예제 1 public class PlusFunction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HelloWorld(5); // HelloWorld 출력 메서드 호출 } // HelloWorld 출력 메서드 선언 public static void Hell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