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[백엔드 로드맵][OS] 터미널 사용 방법
2023. 3. 18. 22:26
Backend Loadmap/Operating System
터미널이란? - 컴퓨터를 직접 제어하기 위해 사용하는 소프트웨어 - 텍스트 기반의 CLI (Command-Line Interface) - 일부 작업 완료하는 것이 GUI에 비해 훨씬 빠르고, 더 많은 명령과 스크립트에 접근 가능 - Windows와 Linux, Mac OS의 명령어는 서로 다르기 때문에, 각 OS에 맞는 명령어 사용해야 함 명령어 실행하기 디렉토리 탐색 (cd) cd Desktop # 현재 위치 폴더 내에 Desktop 폴더가 존재해야 함 cd .. # 이전 디렉토리로 이동 cd Desktop/project/src # 슬래시 구분으로 경로를 한줄에 입력하여 이동 가능 디렉토리 내용 나열 (ls) - Unix 기준, ls 명령어 사용하면 현재 작업 디렉토리에 있는 파일 및 디렉토리 목록을 ..

[용어]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란?
2023. 3. 16. 15:15
Information Technology/용어
소프트웨어 아키텍처 (Software Architecture) - 시스템의 초기 설계 결정 사항을 표현하는 것 = 구조 - 소프트웨어 아키텍처가 중요한 이유는 소프트웨어의 품질을 결정하기 때문 - 하나의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때, 이런 수많은 모듈들을 어떻게 분할하고 배치할 것인지 결정할 때 참고하는 것이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모듈 - 소프트웨어를 구성하고 있는 작은 기능 하나하나의 단위 컴포넌트 - 모듈을 기능별로 묶어놓은 집합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기본 원리 모듈화: 소프트웨어 성능 향상 및 유지관리 등이 용이하도록 시스템의 기능을 모듈단위로 나누는 것 추상화: 전체적이고 포괄적인 개념을 설계한 후에 구체화 시켜 나가는 것 단계적 분해: 상위 개념부터 하위 개념으로 구체화 시키는 분할 기법 하향식 설계 전..

[용어] 메시지 브로커
2023. 3. 15. 23:26
Information Technology/용어
메시지 브로커란? - 미들 웨어의 유형 중 하나로, 송신자 (Publish) 로부터 전달 받은 메시지를 수신자(Subscriber)로 전달해주는 중간 역할 - 응용 소프트웨어 간에 메시지를 교환할 수 있게 함 // 미들웨어: 어플리케이션과 어플리케이션 사이에서 동작하는 중간 단계 어플리케이션 // 미들웨어를 통해 분산된 모든 어플리케이션 사이에 연결을 맺지 않아도 데이터의 교환 가능 - 메시지가 적재되는 공간을 메시지 큐, 메시지의 그룹을 토픽 이라고 함 메시지 브로커 사용 방법 - DW, AS라는 두 개의 서버가 있다고 가정함 DW는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관리하는 서버 AS는 이 데이터를 가공하여 사용하는 서버 AS에서 DW에 있는 데이터를 사용하려는데 메시지 브로커를 사용한다면? - DW 에서..

[용어] 마이그레이션, 컨버팅, 포팅
2023. 3. 15. 23:15
Information Technology/용어
마이그레이션 (Migration) - 하나의 운영체제 (OS)를 다른 운영체제로 옮겨가는 과정 - 일반적으로 더 나은 운영 체계로 나아가는 과정을 말함 - 예: 휴대폰 데이터 → 동기화 - 예: 윈도우 NT → 윈도우 2000 서버로 이동 포팅 (Porting) - CPU, 운영체제 등 소프트웨어를 원래 설계된 컴퓨팅 환경이 아닌 각기 다른 환경에서도 동작할 수 있도록 해당 환경에 맞춰주는 작업 - 한 소프트웨어를 다른 기종의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으로 옮기는 과정이라 생각하면 됨 - 예: 윈도우 → 리눅스 / 윈도우 → 맥 / iOS → 안드로이드 컨버팅 (Converting) - 개발된 프로그램을 언어만 변경해, 같은 플랫폼에서 같은 동작이 가능하도록 수정하는 작업 - 같은 플랫폼 상에서 개발 언어만 ..

[책] 후니의 쉽게 쓴 시스코 네트워킹 - Part 11
2023. 3. 15. 16:11
책/후니의 쉽게 쓴 시스코 네트워킹
세상은 넓고 네트워킹은 계속된다 WAN, Wide Area Network - 대표적인 예: 전화기 (유선전화기, 팩스, 모뎀 등이 대표적인 WAN 장비들) - 일반적인 WAN의 구성 : 중간에 통신회사를 이용해서 광대역 네트워킹 구축 종류 - Leased Line, 전용선 방식 통신 사업자(예. 전화국)에게 통신회선을 임대 받아 사용 만약, 서울 - 부산간 wan 구축을 원할 경우, 통신사업자가 설치해 놓은 회선 중 하나를 임대료를 내고 사용 혼자만 쓰는 전용선이므로, 보안에 강하나, 비용이 많이 듦 예: HDLC, PPP, SLIP Circuit Switched, 회선 스위칭 방식 통신을 하는 순간에만 필요한 회선을 열어주고, 통신이 끝나면 회수하는 방식 예: 전화, 모뎀, ISDN (통화 순간에만, 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