IP 주소로의 여행
IP 주소
- TCP/IP 라는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모든 장비들을 서로 구분해 주기 위해서 만든 것
- 원래 2진수 32자리로 되어 있음
- 8자리 (옥테트, Octet) 마다 점을 찍어 구분
- 10진수로 하면 한 옥테트가 최대 255까지 가능
- 우리가 보는 IP 주소는 그 2진수를 보기 편하게 10진수로 바꿔 놓은 것
라우터에서의 IP주소
- 라우터는 두 개의 인터페이스로 나뉨
- 이더넷 인터페이스: 라우터에서 내부의 네트워크 쪽으로 연결
- 시리얼 인터페이스: 라우터에서 외부, 즉 인터넷 쪽으로 연결
- 그래서 보통 라우터에는 IP 주소가 2개 있음
- 이더넷용 IP: 내부에서 사용하기 위해 부여받은 주소 중 하나 (보통 맨 앞 주소를 사용)
- 예를 들어 203.120.150.1 ~ 203.120.150.255까지 부여받았다면 203.120.150.1을 사용
- 그리고 네트워크에서 이 IP주소와 같은 IP주소를 쓰는 PC가 있어서는 안 됨
- 시리얼용 IP: 라우터가 접속하는 'ISP 업체의 라우터' 의 시리얼 인터페이스와 IP 주소를 맞춤
- 즉, 어떤 ISP 업체에 접속하느냐에 따라 다름
- 상대편 라우터의 (ISP 업체의) 시리얼이 203.150.150.5라면 203.150.150.6 같이 앞이 같음
하나의 네트워크
- 라우터 없이도 통신이 가능한, 하나의 브로드캐스트 영역을 말함
- 예: PC방, 사무실 같은 네트워크
- 라우터는 다른 네트워크로 가려고 할 때만 필요
- 같은 네트워크 상에서는 라우터가 없어도 인터넷 가능
- 같은 네트워크에서 IP 주소의 네트워크 부분은 같고, 호스트 부분은 달라야 함
- 호스트란 보통 장비, 그 중에서 PC를 말하는 경우가 많음
- 호스트 부분이란 이런 장비마다 각각 부여받는 주소의 부분
- 라우터가 라우팅 할 때 참고하는 것은 IP 주소의 네트워크 부분만임
IP 주소에서 네트워크 부분과 호스트 부분을 나누는 법
- 다섯가지 클래스가 있지만 3개만 알아놔도 됨 (나머지 2개는 멀티캐스트용, 연구용임)
클래스 A
- 네트워크가 가질 수 있는 호스트 수가 (IP 주소를 갖는 장비나 PC) 가장 많음
- IP 주소의 32개의 2진수 중에 맨 앞 쪽 한 자리가 0 으로 시작 됨
- 옥테트 (점으로 나뉜 것 의 하나, 즉 8비트) 하나가 네트워크 부분을 나타냄
- 네트워크 부분 (빨간색)을 제외한 곳은 호스트 부분 (파란색)
- 0000 0000. 0000 0000. 0000 0000. 0000 0000 (0. 0. 0. 0) 부터
- 0111 1111. 1111 1111. 1111 1111. 1111 1111 (127. 0. 0. 0) 까지인데
- (0.0.0.0) 과 (127.0.0.0)은 제외하는 것으로 약속
- 결국 (1.0.0.0) 부터 (126.0.0.0) 까지가 됨
- 각 장비의 IP 주소가 아니라 그 네트워크 전체를 나타낼 때 호스트 부분을 전부 0으로 표현
- 즉, INterNIC (공인 IP 분배하는 곳)에서 13.0.0.0 인 네트워크를 받았다면
- 13.0.0.0 ~ 13.255.255.255 까지 중에 호스트 부분을 내가 정할 수 있음
- 그런데 2진수에서 호스트 부분이 다 0인 13.0.0.0은 네트워크 전체를 나타내는 주소이고
- 호스트 부분이 다 1인 13.255.255.255는 네트워크 전체에 있는 모든 호스트에게 전송할 때 사용하는 브로드캐스트 주소이기 때문에 둘 다 사용하지 않음
- 결국 가질 수 있는 호스트의 총 개수는 2²⁴에서 위의 두 주소를 뺀 2²⁴-2개
클래스 B
- 2진수 일 때 맨 앞에 두 자리 10으로 시작
- 옥테트 두 개 (16비트)가 네트워크 부분을 나타내고, 나머지 뒤의 두 개가 호스트 부분
- (128. 1. 0. 0) ~ (191. 254. 0. 0)
- 각 장비의 IP 주소가 아니라 그 네트워크 전체를 나타낼 때 호스트 부분을 전부 0으로 표현
- 마찬가지로 호스트 부분을 2진수로 표현했을 때 다 0이면 네트워크 전체를 뜻하는 주소이고
전부 1이면 브로드캐스트이므로 호스트를 가질 수 있는 개수는2¹⁶-2 개
클래스 C
- 2진수 일 때 맨 앞에 세자리 110으로 시작
- 옥테트 세 개 (24비트)가 네트워크 부분을 나타내고, 나머지 한 옥테트가 호스트 부분
- (192. 0. 1. 0) 부터 (223. 255. 254. 0) 까지
- 각 장비의 IP주소가 아니라 그 네트워크 전체를 나타낼 때 호스트 부분을 전부 0으로 표현
- 역시 호스트 부분이 전부 0인 네트워크 전체의 주소와 전부 1인 브로드캐스트를 빼면
호스트를 가질 수 있는 총 개수는 2⁸-2 개
연습 문제
다음 IP 네트워크 부분과 호스트 부분을 말해보시오.
- 10.3.4.3 : 클래스(A), 네트워크부분(10.0.0.0), 호스트부분(3.4.3)
- 132.12.11.4 : 클래스(B), 네트워크부분(132.12.0.0), 호스트부분(11.4)
- 203.10.1.1 : 클래스(C), 네트워크부분(203.10.1.0), 호스트부분(1)
- 261.12.4.1 : 이런주소는 없음!
IP 주소의 활용
- 어떤 사이트의 사용자 수, 즉 PC의 수가 90대, 스위치가 2대, 라우터가 1대
- 이 사이트는 계속 확장이 일어나서 PC가 200대로 늘어날 예정
- 이 사이트에는 어떤 클래스의 IP를 배정하는 것이 좋을까?
- 답: 클래스 C
- 이유: 클래스 A, B는 호스트 주소가 너무 많이 남아 낭비이고, 이렇게 큰 주소는 잘 배정해주지도 않음
- 게이트웨이: 한 네트워크에서 다른 네트워크로 이동하기 위해 거쳐야 하는 지점, 라우터의 이더넷 인터페이스 주소가 게이트웨이가 됨
서브넷
- IP 주소를 낭비 없이 쓰기 위해 사용, 적절한 주소배정을 위해 사용
- 서브넷을 만들 때 사용하는 마스크를 서브넷 마스크라고 함
- 클래스의 기본 성질대로 쓰는 경우 (서브넷을 만들지 않은 경우), 디폴트 서브넷 마스크를 사용
- 2진수로 고쳤을 때 '1'이 되면 네트워크 부분, '0'이 되면 호스트 부분임
- IP 주소에서 호스트 부분이 전부 0이면 네트워크 그 자체, 즉 네트워크 주소가 됨
- 호스트 부분이 전부 1이면 브로드캐스트의 주소로 쓰임
서브넷마스크
- 기존의 네트워크를 서브넷으로 나눠주기 위한 기법
- 커다란 네트워크를 (호스트의 수가 많은 네트워크) 작은 네트워크로 나눠쓰기 위해 사용
- 나누는 이유는 IP 주소를 아끼고, 브로드캐스트 영역을 나눠주기 위해서임
- 서브넷을 만들지 않으면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이 너무 커져서, 브로드캐스트가 많이 발생해 정상적인 통신 불가능
디폴트 서브넷 마스크 (기본 서브넷 마스크)
- 주어진 클래스를 하나도 쪼개지 않고 그대로 사용할 때의 서브넷 마스크
- 클래스 A: 255.0.0.0
- 클래스 B: 255.255.0.0
- 클래스 C: 255.255.255.0
- 클래스를 쪼개면 디폴트에서 약간 고쳐진 그냥 서브넷 마스크를 사용
- 서브넷 마스크는 IP주소에서 어디까지가 네트워크 부분이고 호스트 부분인지를 표시
- 서브넷 마스크를 2진수로 표현할 시 1인 부분이 네트워크, 0인 부분이 호스트
- IP 주소와 서브넷 마스크 주소의 2진수 각 자리를 AND 연산하면 서브넷마스크 주소가 나옴
- 어떤 IP라도 서브넷 마스크를 통과 시키면 (AND 연산시키면) 네트워크 부분이 어디인지 알 수 있음
서브넷 마스킹
- 기존 IP 주소의 호스트 부분의 일부를 네트워크 부분으로 바꾸는 작업
IP주소 : 150.150.100.1 (1001 0110.1001 0110.0110 0100.0000 0001)
서브넷마스킹 : 255.255. 0.0 (1111 1111.1111 1111.0000 0000.0000 0000)
네트워크부분 : 150.150. 0.0 (1001 0110.1001 0110.0000 0000.0000 0000)
- 150.150.0.0 부분이 150.150.100.1 의 네트워크 부분임
- 여기에 디폴트 말고 새로운 서브넷 마스크를 사용해보면 (255.255.255.0)
IP주소 : 150.150.100.1(1001 0110.1001 0110.0110 0100.0000 0001)
서브넷마스킹 : 255.255.255.0(1111 1111.1111 1111.1111 1111.0000 0000)
네트워크부분 : 150.150.100.0(1001 0110.1001 0110.0110 0100.0000 0000)
- 네트워크 부분이 3 옥테트로 늘어남
- 클래스 B 주소를 마치 클래스 C 주소처럼 사용한다는 의미
- 이렇게 하나의 주소를 서브넷 마스크를 씌워서 작은 네트워크로 만드는 것을 서브네팅 이라고 함
콜리전도메인 ≠ 브로드캐스트도메인
- 콜리전 도메인: 메시지 전송시 충돌이 일어나는 영역으로, 스위치로 나누는 것
- 콜리전 도메인으로 나눠도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의 크기는 그대로임
- 브로드캐스트 도메인: LAN상에서 어떤 단말이 브로드캐스트 패킷을 송출할 때, 이 패킷에 대해 네트워크에서 영향을 받는 영역 또는 그 패킷을 수신할 수 있는 단말들의 집합으로, 라우터로 나누는 것
- 브로드캐스트는 그대로 라우터를 넘어 다른 네트워크로 전송되지 못함
- 즉, 라우터를 쓰면 네트워크를 나눴다는 의미
- 그러므로 다른 네트워크간 통신을 하려면 라우터가 필요
서브넷 마스크의 기본 성질
- 서브넷 마스크에 의해 나눠진 네트워크, 즉 서브넷은 각각 독립된 네트워크임
- 즉, 라우터를 통해야만 서로 통신 가능
- 서브넷으로 나누기 전에는 같으 네트워크에 있었지만, 서브네팅 후엔 네트워크가 다름
- 서브넷 마스크는 2진수로 표현했을 때 연속적으로 1이 나와야 함
- 255.255.255.15(1111 1111.1111 1111.1111 1111.0000 1111) -> (X)
- 255.255.255.252(1111 1111.1111 1111.1111 1111.1111 1100) -> (o)
- 중간에 0이 있으면 안 됨
- 서브넷 마스크를 나누면 네트워크가 나눠진 것이므로 그 사이에도 라우터가 있어야 함
- '라우터 없이 네트워크를 나누기 위해 서브넷 마스크를 만들어 쓴다' -> 틀린 말
TCP/IP 유틸리티 중에서 Trace (추적 기능)
- Ping 의 경우는 출발지 -> 목적지 까지의 응답 시간만을 확인
- Trace는 출발지 -> 목적지까지의 모든 자취를 확인하기 때문에 경로 확인, 응답시간 확인
- 어느 부분에서 느려서 전체적인 응답이 느려지는지 파악 가능
정리
클래스 A
0nnn nnnn.hhhh hhhh.hhhh hhhh.hhhh hhhh
클래스 B
10nn nnnn.nnnn nnnn.hhhh hhhh.hhhh hhhh
클래스 C
110n nnnn.nnnn nnnn.nnnn nnnn.hhhh hhhh
* n : 네트워크 부분, h : 호스트 부분
스위치를 켜라!
스위치와 브리지
- 스위치와 브리지는 기본적인 동작은 비슷함
- 현재 브리지를 거의 사용하지 않고 스위치를 사용함
스패닝 트리 알고리즘 (STP, Spanning Tree Porotocol)
- 스위치나 브리지에서 발생하는 looping 을 막아주기 위한 프로토콜
- 스위치나 브리지 구성에서 출발지 ~ 목적지까지의 경로가 2개 이상 존재할 때, 한 개의 경로만 남기고 다 끊음
- 그러다 사용하던 경로에 문제가 생기면 끊어두었던 경로를 다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알고리즘
- 비순환 구조를 가짐
STP를 이해하기 위한 기본 개념
- 브리지 ID (BID, Bridge ID)
- 브리지나 스위치들이 통신할 때 서로를 확인하기 위해 가진 번호
- 총 8 byte (64 bit)의 2진수로 이루어짐
- 2 byte (16bit)의 브리지 우선순위 (Bridge Priority), 6 byte (48 bit) 의 맥 어드레스로 이루어짐
- 브리지 우선순위에 올 수 있는 수는 0 ~ 2¹⁶- 1, 디폴트로 중간인 32768 을 사용
- 낮은 값이 더 높은 우선 순위를 갖음
- 맥 어드레스는 스위치에 고정된 값, 16진수 방식으로 표시
- Path Cost (경로 비용)
- 브리지가 얼마나 가까이, 빠른 링크로 연결되어 있는지 알아내기 위한 값
-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을 정의하고 있는 IEEE 802.ID 에서는 Cost 값 계산 시, 1000Mbps를 두 장비 사이의 링크 대역폭으로 나눈 값을 사용
예) 두 스위치가 10 Mbps로 연결 (10 Mbps가 링크 대역폭)
Path Cost = 1000 / 10 = 100
100 Mbps 이면 1000 / 100 = 10
- Path Cost는 링크의 속도가 (대역폭) 빠를 수록 작은 값이 나옴, 즉 빠를 수록 비용이 적게 드는 것
- 3 개의 스위치가 A-B-C 일직선으로 연결되어 있다면, A-B의 Path Cost 와 B- C의 Path Cost 를 더한 값이 A-C 의 Path Cost 가 됨
스패닝 트리의 동작 규칙 세 가지
- 첫째, 네트워크당 하나의 루트 브리지 (Root Bridge) 를 가짐
- 라우터에 의해 나누어지는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을 하나의 네트워크라 할 때, 하나의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에 하나씩의 루트 브리지가 존재해야 함
- 루트 브리지: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 수행 시 기준이 되는 브리지
- 둘째, 루트 브리지가 아닌 나머지 모든 브리지 (Non Root Bridge) 는 무조건 하나씩의 루트 포트를 가져야 함
- 루트 포트 (Root Port): 루트 브리지에 가장 빨리 갈 수 있는 포트 (가장 가까운 포트)
- 셋째, 세그먼트당 하나씩의 지정 포트 (Designated Port)를 가짐
- 세그먼트: 브리지 또는 스위치 간에 연결된 링크
- 브리지나 스위치가 서로 연결되어 있을 때, 그 세그먼트에서 반드시 한 포트는 지정 포트로 해야 함
- 결국 STP는 지금 배운 세 가지 규칙을 적용하여 어느 링크를 살리고 죽일지 결정하는 것
- 루트 포트, 지정 포트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포트는 막는 것을 기본으로 함
정리
- 네트워크당 하나의 루트 브리지 선정
- Non Root Bridge는 무조건 하나씩의 루트 포트 가짐
- 세그먼트당 하나의 지정포트 설정
STP 에서 순서 정하는 방법
- 누가 더 작은 브리지 ID를 가졌는가?
- 루트 브리지까지의 경로 비용은 누가 더 작은가?
- 누구의 Sender ID가 더 낮은가?
- 누구의 포트 ID가 더 작은가?
// Sender ID: BPDU 에 STP 정보를 실어 보낼 때, 발신자의 주소를 넣는 것
// BPDU (Bridge Protocol Data Unit): 브리지나 스위치 간 정보 교환을 위한 프레임 데이터
BPDU (Bridge Protocol Data Unit)
- 브리지와 스위치가 부팅을 하면 이들은 각 포트로 BPDU 를 2초마다 내보내 서로의 STP 정보를 주고 받음
- BPDU 에는 아래와 같은 정보가 실려있음
- 루트 브리지의 BID인 Root BID
- 루트 브리지까지 가는 경로값인 Root Path Cost
- 보내는 브리지의 BID인 Sender BID
- 어떤 포트에서 보냈는지 알려주는 Port ID 등
- 어떤 BPDU가 좋은 BPDU 인지 알아보기 위해 위 4단계를 사용하는 것
스패닝 트리가 만들어지는 과정
1. 루트 브리지 선출
- 기본적으로 스위치는 Configuration BPDU를 2초마다 서로 교환하여 서로의 역할을 결정함
- 우선순위 + MAC Address 값이 가장 작은 스위치가 Root로 선출
2. 지정 포트 (Designated Port) 선출하여 Block 할 포트 선출
- Root Bridge 로 선출 된 스위치의 포트들은 기본적으로 지정 포트로 정해짐
- Non Root Bridge 스위치들은 Root Bridge 스위치와 가장 인접한 포트를 Root Port 로 선출
- Port Cost 를 비교하여 더 낮은 Cost 의 Port 를 지정 포트로 선출
- 만약 Cost 가 같다면 Bridge ID를 비교
- Birdge ID도 같다면 Port ID를 비교 → Designated Port 와 Non Designated Port 를 선출 → Non Designated Port는 Block 처리 (속도가 느리거나, 거리가 멀거나 등 가장 열등한 포트를 차단)
- 회전 속도가 높을수록 Cost 값은 낮음
- Cost 값이 낮은 포트를 Designated Port로 선출
STP의 5가지 상태
- STP를 만드는 과정에서 모든 스위치나 브리지의 포트는 언제나 아래 5가지 상태 중 하나에 속함
1. Disabled
- 포트가 고장나서 사용할 수 없거나, 네트워크 관리자가 일부러 Shut Down 시킨 상태
- 데이터 전송, 맥 어드레스의 learning, BPDU 송수신 모두 불가능
2. Blocking
- 스위치를 맨 처음 켜거나, Disabled 였던 포트를 관리자가 다시 살렸을 때
- 처음에 BPDU를 주고 받으면서 Root Bridge, Root Port, Designated Port를 뽑는 과정이 이 상태에서 일어남
- 데이터 전송. 맥 어드레스의 learning X, BPDU의 송수신 O
3. Listening
- Blocking 상태의 스위치 포트가 Root Port 또는 Designated Port로 선정되면 Listening 상태가 됨
- 새로운 스위치가 접속한다면 Non Designated Port 로 되어 다시 Blocking 상태가 될 수 있음
- 데이터 전송. 맥 어드레스의 learning X, BPDU의 송수신 O
4. Learning
- Listening 상태인 스위치 포트가 Forwarding Delay (디폴트 시간 15초) 동안 그 상태를 계속 유지하면 Learning 상태로 넘어감
- 비로소 맥 어드레스 테이블 생성 시작
- 데이터 전송 X, 맥 어드레스, BPDU 송수신 O
5. Forwarding
- 스위치 포트가 Learning 상태에서 다시 Forwarding Delay 상태 유지하면 Forwarding 상태로 넘어감
- 이제야 프레임 송수신 가능
- 데이터 전송 시작, 맥 어드레스 Learning O, BPDU 송수신 O
스패닝 트리에 변화가 생기던 날
- 헬로 타임 (Hello Time): Root Bridge 가 Hello BPDU를 보내는 시간의 간격, 디폴트 2초
- 맥스 에이지 (Max Age): 브리지들이 Root Bridge로부터 Hello Packet을 받지 못하면 맥스 에이지동안 기다린 다음, 스패닝 트리 구조 변경 시작
- 포워딩 딜레이 (Forwarding Delay): 브리지들이 블로킹 상태에서 포워딩 상태로 넘어갈 때까지 걸리는 시간
블로킹 - 리스닝 - 러닝 - 포워딩 ( - 가 블로킹 딜레이)
VLAN (가상 랜, Virtual LAN)
- 한 대의 스위치를 여러 개의 네트워크로 나누기 위해 사용
- 스위치에서만 지원
- 트렁크 포트 (Trunk Port): 하나의 포트를 통해 서로 다른 VLAN을 함께 전송할 수 있게 하는 포트
- 하지만 이 구성에서도 VLAN1, VLAN2, VLAN3은 서로 통신 불가
- 왜냐면 다른 네트워크이므로 서로 통신하려면 라우터 필요
- 같은 스위치가 아니더라도 VLAN이면 네트워크가 같기 때문에 서로 통신 가능
- 트렁크에서 패킷 전송 시, VLAN 정보도 같이 전송되므로 그 패킷이 어느 VLAN의 패킷인지 알 수 있음
스태틱 VLAN
- 스위치의 각 포트들을 원하는 VLAN 에 하나씩 배정하는 것
- 일반적인 방식
다이나믹 VLAN
- 포트에 접속하는 장비의 맥 어드레스를 보고, 그에 따라 VLAN을 배정함
- 포트의 VLAN 세팅이 그때그때 다름
트렁킹
- 여러 개의 VLAN 들을 함께 실어나르는 것
- 원래는 VLAN마다 링크를 만들어야 하지만, 하나로 줄여 여러 VLAN이 다 이용 가능
- 그래서 VLAN 들은 자기들이 어디 VLAN 인지 이름표를 붙여 이동함 (ISL, IEEE802.1Q 방식)
// ISL: 시스코에서 만든 트렁킹 프로토콜
네이티브 VLAN
- 이름표를 붙이지 않음
- Untagged 트래픽이라고도 함
- 모든 스위치 네트워크에서 유일하게 한 개의 VLAN만 네이티브 VLAN으로 세팅 가능
VTP (VLAN Trunking Protocol)
- 시스코만의 프로토콜
- VTP 기능이 없으면 VLAN 추가 시, 스위치마다 VLAN 구성을 일일이 변경해야 함
- VTP 기능 있으면
- 스위치 중 하나를 VTP 서버로 선정
- VTP 서버에서 VALN 정보 설정
- VTP 서버가 다른 스위치와의 트렁크 링크를 통해 자동으로 나머지 스위치 업데이트
VTP 간에 주고받는 메시지의 형식
1. Summary Advertisement
- VTP 서버가 5분마다 전송하는 메시지
- VTP 도메인 구성에 대한 Revision Number를 보내서, 받은 스위치들이 자기의 VLAN 정보가 최신인지 확인 할 수 있게 함
- VLAN 구성에 변화가 생기면 5분도 기다리지 않고 바로 전송
2. Subset Advertisement
- VLAN 구성의 변경
- VTP 클라이언트로부터 Advertisement Request 메시지 받았을 때 전송
- 실제 VLAN 정보는 여기에 저장되어 전달
3. Advertisement Request
- 클라이언트가 VTP 서버에게 Summary Advertisement와 Subset Advertisement를 요청할 때 쓰임
- 클라이언트가 자신의 Revision넘버보다 더 높은 번호를 받았거나
- Subset Advertisement 메시지를 잃어버렸거나
- 스위치가 새로 리셋되었을 경우에 Advertisement Request를 VTP서버에 보낸다
VTP의 세가지 모드
1. VTP 서버 모드
- VLAN의 생성, 삭제, 이름 수정 가능
- VTP 도메인 안의 나머지 스위치에, VTP 도메인 이름 + VLAN 구성 + Configuration Revision Number 전달 가능
- NVRAM 에서 이와 같은 것들을 관리하므로 스위치가 꺼지더라도 정보를 잃지 않음
// NVRAM은 비휘발성 RAM임
2. VTP 클라이언트 모드
- VLAN 생성, 삭제 등 불가
- VTP가 전달해 준 VLAN 정보를 받고, 그 정보를 자신과 연결된 다른 쪽 스위치에 전달
- NVRAM에 저장하지 않아 리부팅하면 다시 VTP 서버로부터 정보 얻어와야 함
3. VTP 트랜스페어런트 모드 (Transparent Mode)
- VTP 도메인 영역에 있지만, VTP 서버의 메시지를 받고, 자신의 VLAN을 업데이트하거나 자신의 업데이트 정보를 다른 스위치에게 전달하지 X
- 따로 혼자 노는 모드
- VLAN을 혼자 생성, 삭제 가능하며 NVRAM에 저장해 리부팅시 지워지지 않음
- 자신은 업데이트 하지 않지만 다른 스위치에게 정보를 전달해주는 역할 함
// VLAN 생성, 수정전에 VTP 도메인 이름을 먼저 만들어야 함
// VLAN이 새로 만들어지거나 지워질 때마다 Config Register의 값이 1씩 추가 됨
VTP Pruming
- 트렁크로 전달되는 트래픽이 가지 않아도 되는 길을 가지치기 한다는 뜻
- 실제로 그 쪽으로는 전달하지 않음
- 최단거리를 제외한 길만 가지치기 함
참고
'책 > 후니의 쉽게 쓴 시스코 네트워킹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책] 후니의 쉽게 쓴 시스코 네트워킹 - Part 11 (0) | 2023.03.15 |
---|---|
[책] 후니의 쉽게 쓴 시스코 네트워킹 - Part 9, 10 (0) | 2023.03.12 |
[책] 후니의 쉽게 쓴 시스코 네트워킹 - Part 7, 8 (0) | 2023.03.01 |
[책] 후니의 쉽게 쓴 시스코 네트워킹 - Part 3, 4 (0) | 2023.02.09 |
[책] 후니의 쉽게 쓴 시스코 네트워킹 - Part 1, 2 (0) | 2023.02.0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