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1. 소스코드
public class Main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printSalary(10000, 160); printSalary(15000, 175); printSalary(9000, 180); printSalary(13000, 190); } // 시급과 일한 시간을 입력받아, 주급을 출력 public static void printSalary(int wage, int hours) { // 최저 시급 체크 if (wage < 10000) { System.out.println("[에러] 기본 시급이 1만 원보다 작습니다."); return; } // 초과 근무시간 체크 if (hours > 180) { System.out.println("[에러] 근무시간이 180시간을 초과하였습니다."); return; } // 급여 변수 double salary = 0.0; // 초과 급여 계산 if (hours > 160) { int extraHours = hours - 160; // 초과 시간 salary += wage * extraHours * 1.5; // 초과 급여 hours -= extraHours; // 초과 시간 제거 } // 기본 급여 계산 salary += wage * hours; // 결과 출력 System.out.printf("[급여] %d 원\n", (int) salary); } }
2. 내가 만든 순서도

3. 교수님의 순서도

4. 새롭게 알게 된 것
1. 다른 사람들의 예시를 보고, 메소드 호출은 직사각형인 줄 알았는데, 교수님 말씀대로 직사각형에 줄 두 개 쳐진걸 사용한다.
2. 메소드 호출을 하고난 후, 그 메소드에 대한 순서를 옆에 만드는게 더 보기 좋다.
3. 코드를 알고 있는 경우에 처리를 하게 된다면 직사각형에 한 번에 코드 넣기, 사람마다 순서도는 다르게 나오겠지만 나처럼 기울어진 사각형 여러개로 처리하면 보기가 불편함
'Information Technology > Algorithm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Algorithm] 이진 탐색 트리 (0) | 2023.09.29 |
---|---|
[Algorithm] 이진 트리의 재구성 (0) | 2023.09.09 |
[Algorithm] 트리 (Tree) (0) | 2023.09.09 |
[Algorithm] 요세푸스 문제 - 1, 2 (0) | 2023.08.23 |
[Algorithm] 토끼와 거북이 - 2 (0) | 2023.07.2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