TIL
[TIL/Docker] Host 포트와 Container 포트란?
Namani
2024. 9. 30. 17:28
-p 옵션
도커를 사용하면서 컨테이너를 실행시킬 때, `-p` 옵션은 포트 포워딩을 설정할 때 사용된다.
`-p 호스트포트:컨테이너포트`
이렇게 하면 호스트에 방화벽 규칙이 생성되고, 컨테이너 포트를 Docker 호스트의 포트에 매핑하여 외부와 연결할 수 있다.
docker run -p 8080:80 my-container
// 브라우저에서 localhost:8080으로 접근하면 도커 컨테이너의 80번 포트로 들어가게 된다.
호스트 포트
외부에서 접속하게 되는 호스트(로컬) 포트
컨테이너 포트
동작 중인 컨테이너의 포트
- `docker run -p 3000:5000` 으로 컨테이너 가동을 한다.
- 사용자의 경우, `localhost:3000` 으로 접속하게 된다.
- 로컬의 3000번 포트는 컨테이너의 5000번 포트와 연결되어 있어 컨테이너에 접속 가능
출처
1. https://docs.docker.com/engine/network/ - published ports
2. https://ksha0628.tistory.com/151